요즘같이 불확실하고 어려운 시장에서도 살아남기위해, 차트충이 열심히 핫한 섹터를 발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주린이 탈출작전 시작합니다.
여기 섹터에는 오늘 하루 이슈되는 시황 혹은 (경제)기사들 정리하여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3.09.20 (수) 차트충의 오늘의 경제 이슈 Feat. 내년 금리 인하폭은?>
[내년 금리 인하폭은?…이번 FOMC에서 중요한 모든 것 ]
출처: 머니투데이
미국의 통화정책 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가 20일 오후 2시(한국시간 21일 오전 3시)에 발표된다.
이번에는 분기마다 한번씩 나오는 금리 전망 점도표와 경제전망요약(SEP)도 함께 공개된다. 점도표는 연준(연방준비제도)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점으로 찍어 표기한 표이며 SEP는 경제성장률과 인플레이션, 실업률에 대한 연준 위원들의 예측을 담고 있다.
금리 동결 가능성 99%
시카고 상품거래소(CME)의 금리 선물시장은 이번 FOMC에서 금리가 5.25~5.5%로 동결될 가능성을 99%로 보고 있다.
연준, 특히 파월 의장이 이끌고 있는 연준은 시장의 예상을 뒤집는 결정을 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현재처럼 시장이 어떤 한 결과를 강하게 예상하고 있을 때는 더욱 그렇다.
지난 7월 FOMC에서 금리를 올렸고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이번 FOMC에서는 금리 동결이 확실시된다.
하지만 연준은 향후 금리에 대해서는 시장이 어떤 예단도 하지 못하도록 지금까지처럼 모든 가능성을 열어둘 것으로 보인다.
연준 부의장을 지냈던 로저 퍼거슨은 최근 CNBC와 인터뷰에서 "오는 11월 FOMC는 (아직 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라이브 회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준은 아직 '이제 긴축이 끝났다'고 말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 "연준은 필요하다면 금리를 한번 더 올릴 유연성을 갖고 있기를 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3-09-20
- 오후장★테마동향 -
강세 테마 : 해운, 핵융합에너지, 키오스크(KIOSK), 초전도체,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종합상사, 페라이트, 양자암호, 자동차 대표주, 철강 주요종목, 종합 물류,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두나무(Dunamu), 스마트카(SMART CAR), 니켈, 통신 등...
약세 테마 : 면역항암제, 비만치료제,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자전거, 테마파크, 유전자 치료제/분석,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치매, 슈퍼박테리아,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마이크로바이옴, 마리화나(대마),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줄기세포, 제대혈, 3D 낸드(NAND), 캐릭터상품, 엠폭스(원숭이두창), LPG(액화석유가스), 의료기기 등...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 中 철강 감산 정책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철강 업황 둔화로 고전했던 철강주가 중국의 철강재 감산 정책에 따른 기대감에 주가가 반등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는 중국 철강업체들의 감산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국내 철강업체들의 하반기 실적 개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아울러 최근 중국 정부가 발표한 경기부양책이 본격화하면 철강 수요도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음. 삼성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국내 철강사들의 실적 흐름은 3분기 바닥 형성 이후 4분기 소폭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혔으며, 하나증권은 연말로 갈수록 철강제품 수급 개선에 의한 철강 유통가격 상승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음.
▶️양자암호 : 특허청, 양자 분야 유망기술 발굴 소식 등에 상승 ▷금일 특허청은 산·학·연의 R&D 기획을 지원하기 위해 양자와 인공지능 분야에서 표준특허 선점이 필요한 유망기술 발굴에 착수한다고 밝힘. 양자와 인공지능 기술은 지난 8월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3국간 글로벌 표준화 협력 대상 기술에 포함된 바 있음.
▷표준특허 선점 시 관련 시장을 선도할 기회가 열리는 만큼 특허청은 표준특허 확보 관점에서 유망기술을 발굴해 우리 산·학·연의 경쟁력 향상에 일조할 계획. 특허청은 연말까지 유망기술을 도출하고, 각 유망기술별 표준특허 확보 전략을 함께 실은 종합보고서를 표준특허포털을 통해 배포할 계획.
▷이와 관련, 목성호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양자와 인공지능은 미래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만큼 표준특허를 선점해 시장 영향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R&D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우리로, 케이씨에스, 아이윈플러스, 엑스게이트 등 양자암호 테마가 상승.
▶️아이폰 : 아이폰15 中 판매 부진 우려 등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중국인들의 아이폰15 수요가 예상과 다르게 부진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 것으로 전해짐. 팀 롱 바클레이스 애널리스트는 중국인들의 소비심리가 위축되는 과정에서 아이폰15 주문량이 감소하고 있다며 향후 애플의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힘. 특히, 그는 "중국의 아이폰 판매 채널을 조사한 결과 아이폰15 주문량이 전년동기대비 약 5% 감소했다"면서 "프로 시리즈까지 합쳤을 때도 주문량이 전년 대비 약 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언급.
▷이어 "중국 경기가 위축되는 과정에서 소비자들의 지출 규모가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중국에서의 아이폰 판매 부진으로 애플이 잠재적으로 어려운 사이클을 직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평가했음. 이에 애플의 투자의견을 비중 유지(Equal Weight), 목표가는 167달러로 제시. 이는 19일(현지시간) 애플 종가 대비 약 6% 낮은 수준임.
▷한편, 모건스탠리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보고서에서 선주문 데이터에 대해 "우려했던 것보다 낫다"고 평가한 바 있음. 이와 관련해 바클레이즈는 "아이폰 수요를 분석할 때는 리드타임보단 실제 판매 채널 조사가 더 정확하고 강력하다"며 "지금까지 나온 자료를 토대로 분석해 보면 중국 내 아이폰15 수요가 부진한 상황"이라고 지적했음.
▷이 같은 소식 속 비에이치, LG이노텍, 와이엠티, 프로텍 등 아이폰 테마가 하락.
-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
미래산업(025560) : 中 YMTC 반도체 장비 국산화 성공 소식 속 YMTC와 반도체 검사 장비 공급 계약 체결 이력 부각에 강세
코리안리(003690) : 국내외 업황 호조에 따른 실적 레벨업 전망 등에 소폭 상승
BNK금융지주(138930) : BNK경남은행, 약 3,000억원 규모 횡령 확인 소식에 소폭 하락
-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
라이콤(388790) : 자체 개발 광증폭기, 美 관련 업체에 샘플 공급 완료 소식 속 급등
엑스게이트(356680) : 양자암호기반 VPN 등 신사업 기대감 및 해외 시장 진출 기대감 등에 급등
코난테크놀로지(402030) : 2023 에듀테크 코리아에 '코난보이스' 3D 콘텐츠 제작 서비스 공개 소식 등에 상승
라온테크(232680) : 3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소폭 상승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30920 (수) 마감 시황
금리가 먼저다
1. KOSPI 대형주의 상대적 선방과 에코프로(+7.1%)/비엠(+4.5%) 반등으로 KOSPI 20일 이평선 위, KOSDAQ 120일 이평선 위에서 마감. 상승종목수보다 하락종목수가 더 많아 지수는 보합이었지만 체감적으로는 하락장(KOSPI 상승 353개 < 하락 521개, KOSDAQ 상승 489개 < 하락 1,029개). 특히 주도 테마였던 비만, 의료 AI 주식이 큰 폭 하락하며 연말 양도세 회피 목적 매도 가능 주식 = 주가가 좋았던 중소형주에 대한 경계 심화. 다만 오늘 낙폭의 대부분은 개인이 아니라 외국인 매도가 집중된 결과. 즉 금리 경계
2. 루닛은 안티 2차전지 진영으로 분류된 영향과 더불어 오늘(9/20)이 유상증자 1차 발행가액 확정일. 증자비율 15%, 할인율 25%를 적용하면 1차 발행가는 153,500원 수준, 오늘 종가와 6만원 가량 차이. 다음주 월요일(9/25)이 신주배정기준일이므로 이번주 금요일(9/22) 유증 권리락 추가 반영 가능
3. 전일 미 국채 금리 2년물이 5.10%, 10년물이 4.37%로 오른데 이어 한국 국고채 금리도 상승. 인플레이션의 연장선으로 BDI가 반등하며 오랜만에 해운주 급등(HMM +3.6%, 팬오션 +9.1%). 전미자동차노조(UAW)의 빅3(GM, Stellantis, Ford) 파업 선언으로 한국 자동차 반사 수혜(현대차 +2.6%, 기아 +2.5%, 에스엘 +3.2%). 소외됐던 운수장비 업종이 선방
4. 금리 상승에 외국인/기관 KOSPI 대형/배당주 매수 집중. 최근 상대강도가 크게 개선된 ETF는 KODEX 배당가치. 상위 보유 종목 대부분 9월 주가 상대적 호조(ETF 내 비중 삼성전자 14.7%, POSCO홀딩스 9.1%, 현대차 6.5%, 기아 5.3%, KB금융 4.7%, 신한지주 4.3%, 하나금융지주 2.9%, KT&G 2.6%, 삼성화재 2.3%, 우리금융지주 2.2%, LG 1.9%, SK텔레콤 1.9%, HMM 1.7% 등). 9/1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금융사 배당 자율성 보장" 발언으로 은행주 중심 배당주 강세 연장. 보험주 역시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으로 늘어난 이익을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상법 시행령 개정 가능. 9~10월 중 입법예고 예상. 현대차가 올해 반기 배당에서 분기 배당으로 전환, 주요 금융지주 중 마지막으로 우리금융지주도 분기 배당을 시작하며 9월 말 배당 종목수 증가. 6월 말 당시 대부분 종목이 분기 DPS만큼 배당락을 겪었고, 금융주는 DPS 이상 주가가 빠졌음을 감안할 때 다음주 9/25(월) 배당기준일, 9/26(화) 분기 배당락 이후 주가 낙폭이 관건. 자회사인 경남은행 2,988억원 횡령 조사 중인 BNK금융지주를 제외한 금융주 강세 연장 여부 주목
5. 테마=성장주 vs. 대형가치배당주 중 9월은 후자의 선방. 오늘 밤(한국 시간 내일 새벽 3시) FOMC에서 점도표, 경제전망, 파월 코멘트 등이 시장 예상에 부합하며 금리가 다시 한 번 저항선에서 후퇴하는지, 아니면 저항선을 돌파하고 올라가는지 여부가 시장 방향과 색깔을 결정. 물론 금리가 추세적으로 올라가면 신흥국 증시는 색깔이고 뭐고 다 빠짐. 금리 안정 확인 후 매수해도 늦지 않음
2023년 9월 20일 상승률 TOP30
1. 모비스(30%) : 국내 첫 중입자치료 환자, 암 제거 확인 모멘텀 지속에 핵융합에너지 테마 상승 속 상한가
2. STX그린로지스(30%) : 발틱운임지수(BDI) 반등 소식 등에 해운 테마 상승 속 상한가
3. 파버나인(29.88%) : 의료기기의 알루미늄 소재 외관제품 공급 관련 삼성전자와 의료기기 사업 공동 진행 사실 재부각 등에 상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