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같이 불확실하고 어려운 시장에서도 살아남기위해, 차트충이 열심히 핫한 섹터를 발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주린이 탈출작전 시작합니다.
여기 섹터에는 오늘 하루 이슈되는 (경제)기사들 정리하여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3.08.14 (월) 차트충의 오늘의 경제 이슈 (2) >
[ BYD, 500만대째 신에너지 차량 출고 ]
출처: 한국글로벌뉴스
세계 최고의 신에너지 자동차 및 전력 배터리 제조업체 BYD는 500만대째 신에너지 차량(new energy vehicle, NEV)인 덴자 N7(DENZA N7)을 출고한 세계 최초의 자동차 제조업체가 되는 이정표를 달성했다.
[ 한화오션, 필리핀과 잠수함 물밑 협상 ]
출처: 더구루
한화오션이 필리핀에 잠수함 수출을 꾀한다. 필리핀은 군 현대화 프로그램 일환으로 잠수함 도입을 검토 중이다. 한화오션은 지난 2019년 계약 체결 이후 인도네시아로 향하려던 잠수함을 필리핀으로 보낸다는 방침이다.
[ 韓조선, 7월 선박수주 점유율 44%…5개월만에 중국 제치고 1위 ]
출처: 연합뉴스
한국 조선업계가 지난달 5개월 만에 중국을 제치고 '선박 수주 점유율 1위'에 올랐다. 14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7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333만CGT(표준선 환산톤수·96척)로 지난해 동월과 비교해 22% 증가했다.
이 가운데 한국은 146만CGT(44%)를 수주해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선 것은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이다. 2위인 중국은 113만CGT(34%)를 수주했다. 선박 척수로는 한국이 29척, 중국이 48척을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 "LK-99는 상온 초전도체, 축하드린다"…테마주 다시 '급등' ]
출처: 한국경제
LK-99에 대한 진위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초전도체 테마주들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물리학 박사 출신인 한 핀테크 기업의 대표가 "LK-99는 초전도체"라는 주장을 펼치자 매수세가 다시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 "미국의 중국 양자기술 투자 제한, 효과 제한적일 듯" ]
출처 : 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미국이 중국의 양자 기술을 겨냥해 규제 조치를 내놓았지만, 중국이 국가적 차원에서 양자 기술의 국산화를 밀어붙이고 있어 미국 측 규제의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출처: 연합뉴스
1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제임스 루이스 수석 부소장은 이 매체에 "미국의 투자 규제로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겠지만 중국이 자체 양자 컴퓨팅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제한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 테슬라, 中서 또 가격 인하..경기부양 정책에 '경쟁' 지속 ]
출처: 파이낸셜뉴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중국에서 차량 가격을 또 내렸다.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에 자동차 소비가 중심이 된 데다, 테슬라까지 적극 나서면서 신에너지차 업체의 가격 인하 경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4일 중국 매일경제신문 등에 따르면 테슬라는 공식 웨이보(중국판 트위터)를 통해 이날부터 모델Y 롱레인지 가격을 31만3900위안에서 29만9900위안(약 5489만7000만원)으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또 모델Y 퍼포먼스 가격은 36만3900위안에서 34만9900위안(약 6404만2000만원)으로 각각 내린다. 모델3 후륜구동(RWS)의 경우 오는 9월30일까지 구매하면 제휴 보험사를 통해 8000위안의 한시적 보험 보조금을 지급한다.
[ IRA항목에 포함된 구리...국내 '동박 기업' 하반기 수혜 기대감 상승 ]
출처: 스마트에프엔
최근 미국 정부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항목에 구리를 포함시키면서 상반기 부진을 겪었던 동박기업들이 하반기에는 회복세를 넘어 수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14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오는 10월 안에 IRA 세부규정을 추가로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 에너지부가 최근 구리를 핵심 원자재로 포함시키면서 이차전지 필수 소재인 동박이 핵심 광물로 지정될 것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구리는 동박의 주요 원자재다.
테마주 시장 읽기 (08.14 오전)
-> 금일 전반적인 시장은 약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테마주단에서도 [초전도체], [중국 관광] 테마를 제외하고는 수급의 탄력이 약하고, 수급 확산 또한 관찰되지 않고 있음
코스피 상승(244개), 하락(649개) 코스닥 상승(425개), 하락(1,114개)
-> 주말간 보나사피엔스의 김인기 대표의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둘 다 된다"라는 발언과 긍정적인 해외 외신 소식 등까지 더해지면서 지난주 강세 마감한 [초전도체 테마]로 수급이 쏠리면서 다른 테마 상대적 약세
-> 지난주 중국의 단체여행 허용 소식 이후 단 하루 만에 크루즈선 53척 제주 기항 예약되었다는 소식과 중국이 외국인 투자유치 대책을 위해 차별 없앨 것이라는 소식 등으로 기관/외국인 수급 및 일부 테마성 수급까지 유입되며 호텔/카지노/화장품 등 대표적인 [중국 관련주] 강세
-> 장중 삼성의 '생성형 AI 10월 테스트' 소식이 나오면서 솔트룩스 반등을 시작으로 [AI 테마]로 일부 수급 유입
-> 시장이 약하고 특별한 재료가 없다보니 재료가 있는 테마 내에서만 수급이 쏠리면서 강한 테마는 유독 강한 모습을 보이고 이외 선택받지 못한 테마는 계속 약한 흐름을 보이면서 테마주 단에서도 차별화 심화
약세 테마 : 제대혈, 코로나19(혈장치료/혈장치료제), 항공기부품, 조선, 건설기계,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증강현실(AR), 폴더블폰, 해운, 전자파,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탈모 치료, LNG(액화천연가스),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캐릭터상품,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피팅(관이음쇠)/밸브, 조선기자재, 2차전지(생산), 밥솥, 희귀금속(희토류 등), 웹툰, 2차전지(전고체), 줄기세포 등...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건설기계 : 中 부동산 업체 연쇄 디폴트 위기 등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중국 최대 민간 부동산 개발 업체였던 헝다(恒大)그룹에 이어 대형 업체인 비구이위안(碧桂園)과 완다(萬達)의 ‘도미노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로 중국 경제가 거품 붕괴와 함께 일본식 장기 침체에 빠져들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블룸버그 등 외신들은 14일부터 비구이위안의 11개 위안화 채권 약 56억위안(약 1조원)어치의 거래가 중단된다고 전했으며, 채권시장의 패닉(공포)을 진정시키기 위한 긴급 조치인 것으로 알려짐. 올 초 80~90센트였던 비구이위안 채권값은 지난 11일 8센트 아래로 10분의 1 토막 난 상태이며, 거래 재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음.
▷아울러 블룸버그는 “(비구이위안의) 어떠한 디폴트도 헝다 때보다 중국 주택시장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고 지적했으며,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25%를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이 무너지면 미·중 갈등과 디플레이션(지속적 물가 하락)으로 침체된 중국 경제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DL이앤씨, HDC현대산업, 삼부토건, 디와이디, 테라사이언스, 진성티이씨 등 건설 대표주/중소형, 건설기계 테마가 하락.
▶️2차전지/ 전기차 : 테슬라, 中 추가 가격 인하 소식 및 美 전기차 업체 주가 부진 등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미국 최대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중국에서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Y’의 가격을 4% 안팎 추가 인하한 것으로 전해짐. 보조금 축소와 내연기관차 대비 비싼 가격, 충전 불편 등으로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자 완성차 기업들은 경쟁적으로 가격 인하에 나서고 있으며, 업계에선 올 초부터 글로벌 전기차 가격 경쟁에 불을 붙인 테슬라가 중국 내 판매량을 끌어올리기 위해 추가 가격 인하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음.
▷지난 주말 미국의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0.68% 하락하며 2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 이에 테슬라(-1.10%), 루시드 그룹(-2.06%), 리비안(-1.55%) 등 美 주요 전기차 업체가 하락세를 보였음. 특히,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주가는 캐시 우드의 아크 인베스트먼트 상장지수펀드(ETF)가 테슬라 주식을 다시 매각했다는 소식 등이 부정적으로 작용.
▷한편, 언론에 따르면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배터리 업체들이 우후죽순 늘어나며 과잉 생산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배터리 업체들이 우후죽순 늘어나며 과잉 생산의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업체 난립으로 외려 경쟁력 있는 업체들이 필요 이상의 압박을 받아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음. 이에 글로벌 경쟁 심화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레몬, 테이팩스, 유에스티, 덕양산업, 명신산업, 코다코, 화신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하락.
-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
삼양사(145990) : 2분기 호실적에 강세
코리안리(003690) : 2분기 영업이익 및 순이익 호조 등에 상승
SBS(034120) :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분석 및 내년 이익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세아제강지주(003030) : 2분기 호실적 등에 소폭 상승
대한해운(005880) : 2분기 실적 부진에 소폭 하락
이마트(139480) : 2분기 실적 부진 등에 소폭 하락
-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
디에이테크놀로지(196490) : 현대차그룹, 탈희토류 기반 전기차 모터 개발 추진 소식 속 망간-비스무스(Mn-Bi) 페라이트 자석 2차 프로토타입 제작 완료 사실 부각에 급등
지어소프트(051160) : 2분기 견조한 실적 속 자회사 오아시스 2분기 호실적에 강세
노바렉스(194700) : 내년 건강기능식품 수출 1억달러 달성 목표 소식 속 강세
아톤(158430) : 2분기 역대 최대 분기 실적 등에 상승
에스텍(069510) : 2분기 영업이익 및 순이익 호조 등에 상승
티엘비(356860) : DDR5 전환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케이피에스(256940) : 10분기 만에 영업 흑자 소식 등에 소폭 상승
대동기어(008830) : 2분기 호실적에 소폭 상승
칩스앤미디어(094360) : 129.71억원(자기자본대비 30.90%)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에 소폭 하락
세경하이테크(148150) : 105.78억원(자기자본대비 5.91%)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에 약세
KH바텍(060720) :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 하향 전망 속 하반기 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 등에 급락
2023년 8월 14일 상승률 TOP30
1. 골드앤에스(30%) : 2분기 흑자전환 등에 상한가
2. 서남(30%) : 보나사피엔스김인기 대표, LK-99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동시 성립 발언 부각 등에 초전도체 테마 상승 속 상한가
3. 파워로직스(29.99%) : 보나사피엔스 김인기 대표, LK-99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동시 성립 발언 부각 등에 초전도체 테마 상승 속 상한가
4. 삼양식품(29.98%) :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속2분기 실적 호조 및 김정수 부회장 특별사면 소식 등에 상한가
5. 덕성(29.97%) : 보나사피엔스 김인기 대표, LK-99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동시 성립 발언 부각 등에 초전도체 테마 상승 속 상한가
6. 파두(29.97%) :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 이슈가 마무리되며 상한가
7. 탑엔지니어링(29.88%) : 초전도체 테마 상승 등에 자회사 파워로직스 상한가 속 동반 상한가
8. 모비스(29.85%) : 보나사피엔스 김인기 대표, LK-99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동시 성립 발언 부각 등에 초전도체 테마 상승 속 상한가
9. 서원(29.73%) : 보나사피엔스 김인기 대표, LK-99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동시 성립 발언 부각 등에 일부 비철 금속 테마 상승 속 상한가
10. 국일신동(29.52%) : 보나사피엔스 김인기 대표, LK-99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동시 성립 발언 부각 등에 일부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급등
11. 유니켐(26.03%) : 상업용 비회원제 골프장 카스카디아CC 개장예정 속 영업이익 대폭 증가 기대감 부각
12. LS전선아시아(25.31%) : 보나사피엔스 김인기 대표, LK-99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동시 성립 발언 부각 속 초전도체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13. 엑셈(21.72%) : 2분기 호실적 및 무상증자·배당 적극 검토 소식에 급등
14. 티라유텍(20.16%) :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급등
15. 대창(19.81%) : 보나사피엔스 김인기 대표, LK-99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동시 성립 발언 부각 등에 일부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급등
16. 인지디스플레(19.77%) : 초전도체 테마 상승 등에 최대주주 인지컨트롤스 강세 속 급등
17. 헝셩그룹(16.89%) :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상승 속 급등
18. 원익피앤이(16.8%) : 보나사피엔스 김인기 대표, LK-99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동시 성립 발언 부각 등에 초전도체 테마 상승 속 급등
19. 티로보틱스(16.75%) : 한화그룹의 한화로보틱스 출범 언급에 로봇 테마 상승 속 급등
20. 우리로(15.31%) : 보나사피엔스 김인기 대표, LK-99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동시 성립 발언 부각 등에 양자암호 테마 상승 속 급등
21. 아모텍(15.15%) : 보나사피엔스 김인기 대표, LK-99 상온 초전도체·강자성체 동시 성립 발언 부각 등에 초전도체 테마 상승 속 급등
코리아나(027050)+4.33%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지속 등에 시간외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38.62억원(전년동기대비 +7.88%), 영업이익 4.93억원(전년동기대비 -11.24%), 순이익 8.18억원(전년동기대비 +61.15%)
롯데관광개발(032350)+4.33% 여행/카지노 테마 상승 속 한중 단체관광 재개 수혜 기대감 등에 정규장 15.10% 급등
SK오션플랜트(100090)+4.32%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79.41억원(전년동기대비 +52.12%), 영업이익 301.10억원(전년동기대비 +47.46%)
에스엘(005850)+4.20%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5조원(전년동기대비 +23.46%), 영업이익 1,339.33억원(전년동기대비 +70.83%)
에스엘(005850)+4.20%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5조원(전년동기대비 +23.46%), 영업이익 1,339.33억원(전년동기대비 +70.83%)
팬젠(222110)+3.81% 장 마감 후 빈혈치료제인 팬포틴(Panpotin 2000IU, 4000IU)사우디아리비아 품목허가 획득 공시
강남제비스코(000860)+3.79%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10.18억원(전년동기대비 -6.69%), 영업이익 90.76억원(전년동기대비 +99.16%)
케이피에프(024880)+3.65%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133.41억원(전년동기대비 +2.97%), 영업이익 158.92억원(전년동기대비 +54.00%)
옵트론텍(082210)+3.48%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23.98억원(전년동기대비 +5.42%), 영업이익 2.6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벽산(007210)+3.09%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666.75억원(전년동기대비 +24.46%), 영업이익 168.28억원(전년동기대비 +122.73%)
비보존 제약(082800)+3.06%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66.03억원(전년동기대비 +67.69%), 영업이익 8.06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성신양회(004980)+2.98%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067.66억원(전년동기대비 +6.49%), 영업이익 335.88(전년동기대비 +142.21%) ㅋ 씨아이에스(222080)+2.83%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에스에프에이(최대주주) 대상 2,964,427주(300.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0,120원, 상장예정:2023-09-08) 공시
인화정공(101930)-1.95%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23.09억원(전년동기대비 +1.81%), 영업이익 17.66억원(전년동기대비 -26.86%). 반기 검토(감사)의견 부적정등 사실확인(자본잠식률 100분의 50이상 또는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포함) 및 투자주의환기종목지정(반기 검토(감사)의견 비적정) 공시
이수페타시스(007660)-4.17%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638.29억원(전년동기대비 -1.36%), 영업이익 182.69억원(전년동기대비 -44.88%)
동화약품(000020)-4.35%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99.90억원(전년동기대비 +3.17%), 영업이익 54.64억원(전년동기대비 -45.85%)
제이엘케이(322510)-4.37%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영업수익 2.37억원(전년동기대비 -57.41%), 영업손실 21.4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티로보틱스(117730)-4.63%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7.99억원(전년동기대비 -42.98%), 영업손실 21.8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확대). 316.32억원(자기자본대비 61.13%)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서진시스템(178320)-4.69%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71.90억원(전년동기대비 -7.76%), 영업손실 173.9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확대)
금호전기(001210)-4.79%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9.42억원(전년동기대비 +3.31%), 영업손실 13.5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디에이테크놀로지(196490)-4.94%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21.82억원(전년동기대비 +162.44%), 영업손실 147.5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인지디스플레(037330)-6.80%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54.67억원(전년동기대비 +7.90%), 영업이익 46.78억원(전년동기대비 -26.91%)
모베이스전자(012860)-6.84%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371.50억원(전년동기대비 +8.54%), 영업이익 29.91억원(전년동기대비 -39.94%)
디알텍(214680)-9.35%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31.15억원(전년동기대비 -1.49%), 영업이익 1.28억원(전년동기대비 -95.58%)
DSEN(065150)-9.75%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25.19억원(전년동기대비 +1.11%), 영업손실 14.4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확대). 반기 검토(감사)의견 부적정등 사실확인(자본잠식률 100분의 50이상 또는 자기자본 10억원 미만 포함) 공시
테라사이언스(073640)-9.82% 中 부동산 업체 연쇄 디폴트 위기 등에 건설기계 테마 하락 속 정규장 14.45% 급락
웰바이오텍(010600)-9.91%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61.33억원(전년동기대비 -50.13%), 영업손실 15.5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아진산업(013310)-9.92%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990.00억원(전년동기대비 +37.48%), 영업이익 144.37억원(전년동기대비 -10.99%)
올리패스(244460)-9.96% 장 마감 후 반기보고서를 통해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8.28억원(전년동기대비 +468.34%), 영업손실 24.0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반기 검토(감사)의견 부적정 등 사실확인(자본잠식률 100분의 50이상) 공시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새롭게 개설했습니다. 가장 빠른 차트충의 소식을 접할 수 있으니 하기 링크로 들어와 주세요. 최신 기사 및 좋은 정보 공유 드립니다~^^